발전된 의료 서비스를 위해 진료정보를 공유합니다.
No. 5200
하지정맥류
2016.02.15
작성자 : 관리자
조회 : 5006
|
|
---|---|
하지정맥류
정맥류로 인하여 통증, 하지 무게감, 피로감, 근육 경련 등의 증상이 있거나, 만성 피부지방경화증, 궤양 등의 만성 정맥질환을 동반한 경우, 또는 미용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에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. 1. 정맥 내 열치료 최근 의료기기의 발달로 고주파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정맥내열치료 방법이 개발되어 환자 불편사항을 최소화하고 시술시간이 짧아졌다. 정맥내열치료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방법과 고주파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. 이 치료법은 비침습적 방법으로 정맥내로 도관을 삽관하여 혈관내벽에 직접 고주파(RF) 또는 레이저에너지를 전달, 섬유화를 통해 정맥역류를 치료하는 방법이다. 2. 혈관경화술 혈관경화술은혈관내로경화제를주사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 혈관벽이 파괴되면서 섬유화를 유발하여 혈관이 자연흡수되는 것을 유도하는 방법이다. (1) 경화제 종류: 주로 사용되는 경화제 종류는 세정제인데, 비교적 통증이 적고 작용 길이가 길며 효과가 좋게 때문이다. 현재 국내 시판 중인 것은 소디움테트라데실썰페이트 (STS)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, 치료 후 과색소 침착, 피부괴사,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는 있다. (2) 경화술의 부작용: 경화치료 시에는 주입시 통증과 국소발적과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. 치료 1주일 이상 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색소침착이 발생한다. 색소침착의 경우 30%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, 그 중 70% 이상은 6개월 이내에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 그물형모세혈관확장증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작은 모세혈관들이 치료된 부위 주변에 새로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, 치료받은 환자의 16%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. 이것 역시 주입된 3~12개월에 걸쳐서 서서히 사라진다. 드물지만 피부괴사도 발생할 수 있으며, 이 외에도 얕은정맥염, 혈전, 폐색전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.
3. 수술적 방법: 고위결찰 및 발거술, 정맥류 절제술 등이 있다. 특히 혈관경화술에 저항을 보이는 경우에 유용하다. 박영립, 홍창권, 김문범, 최규철, 이양원, 김성진, 박향준, 김일환, 계영철, 정기양, 강훈, 허창훈. 피부질환의 치료, In: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. 피부과학. 개정6판. 서울: 대한의학서적, 2014:937-939
|
이전글 | 땀구멍각화증(한공각화증) | 2016.02.15 |
다음글 | 하지궤양 및 족부궤양 | 2016.02.15 |
대한피부과학회는 정보통신망법 제 50조의 2, 제50조의 7 등에 의거하여, 대한피부과학회가 운영, 관리하는 웹페이지상에서, 이메일주소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.
[게시일 2020년 5월 15일]